| 
	
	
 | 
	 | 
	
	
	 
 
  |  
	 
 
  |  
	인터넷 초창기부터 생성된 COM, NET, ORG, EDU, GOV, INT, MIL 등 7개와 2001~2002년에 새롭게 생성된 BIZ, INFO, NAME, PRO, AWRO, COOP, MUSEUM 등 7개의 새로운 도메인(New gTLD, New generic Top Level Domain)이 있습니다. 일반최상위도메인은 약칭 국제도메인이라고 부릅니다. 기존의 일반 최상위 도메인 중 com, net, org 도메인은 전 세계 누구나 자유롭게 등록할 수 있는 반면, edu는 학위를 수여하는 교육기관, gov는 미국연방정부, mil은 미국연방군사기관, int는 유엔 등 국제기관만 등록할 수 있습니다.
 
  |  
	
		
		
			
				
				
					| TLD | 
					의미 | 
					생성목적 | 
					관리/운영기관 |  
				
					| com | 
					Commercial | 
					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기업 | 
					Verisign, lnc. |  
				
					| net | 
					Network | 
					네트워크에 관련된 기관 | 
					Verisign, lnc. |  
				
					| org | 
					Organization | 
					비영리 목적의 기관이나 단체 | 
					PIR(Public interest registry) |  
				
					| edu | 
					Education | 
					학위를 수여하는 교육기관 | 
					EDUCAUSE |  
				
					| gov | 
					Government | 
					미국연방정부 관련 기관 | 
					US General Services Administration |  
				
					| mil | 
					Military | 
					미국연방정부 군사기관 | 
					US DoD Network Information Center |  
				
					| int | 
					International | 
					유엔 등의 국제가관 | 
					IANA |  
				
					| info | 
					Information | 
					일반 범용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 | 
					Afilias Limited |  
				
					| biz | 
					Business | 
					일반 범용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회사 | 
					NeuLevel, lnc |  
				
					| name | 
					Name | 
					개인의 성이나 이름 | 
					Global Name Refistrym LTD |  
				
					| pro | 
					Professional | 
					전문직 개인용 도메인 | 
					RegistryPro, LTD |  
				
					| aero | 
					Aero | 
					항공물류를 제굥하는 산업 | 
					SITA |  
				
					| coop | 
					Cooperative | 
					비영리 협동조합 | 
					DotCooperation, LTD |  
				
					| museum | 
					Museum | 
					박물관 등의 예술활동에 관련된 기관 | 
					MuseDoma |  
				 
			 |  
		 
	
  |  
	이 중 com, net, org 도메인 등록이 포화상태에 이르러 더 이상 좋은 이름을 등록하기 어렵게 되자 2000년 11월 국제인터넷주소관리기구(ICANN)가 새로운 최상위 도메인을 
발표하여 모두 14개의 도메인이 되었습니다.
 
  |  
	 
 
  |  
	국가도메인으로도 불리우며 ISO(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)-3166에서 정의된 2자리 문자의 국가코드를 의미합니다. 현재 240여 개 국가에 대해 두 글자로 이루어진 국가 최상위 도메인(nTLD, National Top Level Domain)이 부여되어 있습니다. 예를 들어 kr(한국), jp(일본), cn(중국), us(미국) 등입니다. 국가도메인의 등록 및 관리 업무는 각 국가의 해당 NIC(Network Information Center)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이 중 대부분은 자기 나라 국민들에게만 개방되어 있어서 외국인은 등록할 수 없습니다. 그러나 .to .cc .nu 등 일부 국가 도메인은 외국인들도 아무런 제약 없이 자유롭게 등록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습니다. 한국의 경우는 대한민국에 사무소를 둔 외국법인 또는 단체와 대한민국에 주소를 둔 외국인은 kr 도메인 이름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.
 
  |  
	 
 
  |  
	한국 도메인 .KR은 한국인터넷진흥원(NIDA, National Internet Development Agency of korea, http://www.nic.or.kr/)에서 관리하고 있습니다. 현재 .co.kr, .pe.kr 등 13개의 일반 도메인과 seoul.kr, pusan.kr 등 16개의 지역 도메인을 포함하여 모두 29개의 2단계 도메인이 사용되고 있으며, “한글.kr” 도메인도 2003년부터 사용하고 있습니다.
 
  |  
	- 기관도메인 : 기업이나 회사를 위한 .co.kr 도메인과 비영리기관 또는 단체를 위한 .or.kr 등 모두 6개의 기관 KR 도메인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 현재 가장 등록개수가 많은 .co.kr 도메   인은 사업자등록증이 있어야 했지만, 2002년 8월 이후에는 주민등록증으로도 신청이 가능해졌습니다.
 
  |  
	
		
		
			
				
				
					| 구분 | 
					의미 | 
					해당영역 | 
					등록자격 |  
				
					| co.kr | 
					Company | 
					영리 | 
					기관또는 개인 |  
				
					| or.kr | 
					Organization | 
					비영리 |  
				
					| ne.kr | 
					Network | 
					네트워크 |  
				
					| re.kr | 
					Research | 
					연구 |  
				
					| go.kr | 
					Government | 
					정부기관 | 
					행정기관 또는 입법기관, 사법기관 |  
				
					| mil.kr | 
					Military | 
					국방조직 | 
					정부조직법, 국군조직법, 국방조직 및 정원에 관한 통칙에 근거 |  
				 
			 |  
		 
	
  |  
	- 지역도메인 : 지방자치단체의 인터넷 보급을 위해 도입되었으며 서울 등 7개 광역시와 9개 도를 합쳐 모두 16개 지역 도메인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 해당지역에 연고가 있는 기관    또는 개인일 경우 등록 가능합니다. 필요한 등록증명서류는 사업자등록증, 주민등록증, 고유번호증, 단체증명서, 정관, 회칙 등입니다.
 
  |  
	
		
		
			
				
				
					| seoul.kr | 
					서울특별시 | 
					gangwon.kr | 
					강원도 |  
				
					| busan.kr | 
					부산광역시 | 
					chungbuk.kr | 
					충청북도 |  
				
					| daegu.kr | 
					대구광역시 | 
					chungnam.kr | 
					충청남도 |  
				
					| incheon.kr | 
					인천광역시 | 
					jeonbuk.kr | 
					전라북도 |  
				
					| gwangju.kr | 
					광주광역시 | 
					jeonnam.kr | 
					전라남도 |  
				
					| daejeon.kr | 
					대전광역시 | 
					gyeongbuk.kr | 
					경상북도 |  
				
					| ulsan.kr | 
					울산광역시 | 
					gyeongnam.kr | 
					경상남도 |  
				
					| gyeongg(가)kr | 
					경기도 | 
					jeju.kr | 
					제주도 |  
				 
			 |  
		 
	
  |  
	- 교육도메인 : 교육기관 인터넷 보급을 위해 도입된 2단계 도메인이며 해당 교육기관에서 등록할 수 있습니다.
 
  |  
	
		
		
			
				
				
					| 구분 | 
					의미 | 
					신청기관 | 
					등록증명서류 |  
				
					| ac.kr | 
					Academy | 
					전문대학, 대학, 대학원 | 
					사업자등록증, 법인등록증, 고유번호증 |  
				
					| es.kr | 
					Elementary Shool | 
					초등학교, 공민학교 | 
					사업자등록증, 학교인가증, 설립허가증 |  
				
					| ms.kr | 
					Middle Shool | 
					중학교, 고등공민학교 |  
				
					| hs.kr | 
					High Shool | 
					고등학교, 고등기술학교 |  
				
					| sc.kr | 
					School | 
					기타 교육 훈련기관 |  
				
					| kg.kr | 
					KinderGarten | 
					유치원 |  
				 
			 |  
		 
	
  |  
	- 개인도메인 : pe.kr은 세계 최초의 개인 도메인으로서 대한민국 국민은 누구나 등록할 수 있습니다. 주민등록번호만 있으면 누구나 등록이 가능하며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의    경우 외국인 등록증이 있으면 등록이 가능합니다.
 
  |  
	 
 
  |  
	다국어 도메인은 각 나라의 언어문자로 이루어진 도메인을 말합니다. 한국, 일본, 중국 등 비영어권의 인터넷 인구가 증가하고 도메인의 가치 증대, 기존 도메인의 포화 상태를 극복하고 영문 대신 사용하기 편리한 자국어로 도메인을 생성하자는 흐름이 나타났다. 2000년 11월 이후 각 나라의 자국어에 .com, .net, .org 등의 확장자를 붙인 형태의 도메인 등록이 가능하게 되었으며, kr 등 일부 ccTLD에도 자국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 다국어 도메인은 ‘퓨니코드(puny-code)’를 기반으로 하는데 브라우저 창에 다국어를 입력하면 영문자 아스키코드로 변환해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 것입니다. 한국.com -> xn--3e0b707e.com 中國.com -> xn--fiqz9s.com かな.net -> xn--u8j2c.net
 
  |  
	- 한글도메인 : 한글.com, 한글.kr로 표기되는 한글 도메인은 다국어 도메인 중의 하나이며, 이 외 中國.com(중국), かな.net(일본) 등의 아시아권과 독일, 프랑스 등에서 다국어 도메인   이 사용되고 있습니다. 영문이 아닌 한글로 구성된 도메인을 지칭하며 2000년 “한글.com”, 2003년 “한글.kr”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. 한글도메인은 인터넷 주소에 각 나라의    다양한 문자를 이용하도록 하는 인터넷국제표준방식이 확정됨에 따라 이를 적용하였으며 기존의 여러 업체들이 제공하던 한글 포워딩 서비스와 달리, 표준화된 도메인으로 별도   의 DNS 세팅 없이 네임서버만 등록하고 전 세계 어디에서나 자유로운 접속이 가능합니다. 단, 웹브라우저 주소창에 “http://한글.com” 또는 “www.한글.com”을 입력하는 경우에는    아무런 보조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지만 ‘http://’ 또는 ‘www’를 생략하고 “한글.com”만 입력하는 경우에는 플러그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.
 
  |  
	
		
		
			
				
				
					한글도메인 등록원칙 | 
					한글, 영문자, 숫자, 옆줄(-)을 사용, 그 외의 특수문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. |  
				
					| 한글을 한 글자 이상 포함하여 2자 이상 최대 17자까지 등록할 수 있습니다 |  
				 
			 |  
		 
	
  |  
	
		
		
			
				
				
					| 구분 | 
					한글도메인 | 
					한글인터넷주소 |  
				
					| 서비스 제공기관 | 
					국가인터넷주소관리기관인 한국인터넷진흥원(한글.kr)과 VeriSign(한글.com) | 
					민간영리업체 |  
				
					| 서비스 방식 | 
					국제인터넷표준기구에서 정한 표준방식, 어플리케이션에서 한글을 아스키문자로  변환하여 DNS로 전달 | 
					서비스제공기관이 정한 방식 별도프로그램 설치, 서비스 제공 DNS 이용 등록된 도메인으로 포워딩하는 방식 (도메인 등록 필수) |  
				
					| 확장성 | 
					한글.com, 한글.kr 하위에 웹.한글.kr 등 호스트이름 추가 가능 | 
					등록된 단어로만 사용 가능 |  
				
					| 유일성 | 
					인터넷상에 동일한 주소가 존재할 수 없어 유일성이 보장됨 | 
					업체별 DB에 동일한 이름이 각기 등록되어 유일성을 보장할 수 없음 |  
				
					| 표준화 | 
					O | 
					X |  
				 
			 |  
		 
  |  
	
		 < 한글도메인과 한글 인터넷주소 비교 > 
  |  
	 
 
  |  
	www로 시작하는 영문 인터넷주소 대신 회사명, 상품명, 서비스, 개인 실명에서부터 숫자로 된 전화번호, 핸드폰번호, 기념일 등의 한글, 영문, 숫자를 인터넷주소로 사용할 수 있는 인터넷 주소 서비스입니다. 한국에서는 한글을 주로 사용하기에 통칭 ‘한글인터넷주소’라고 부르는데, 줄여서 ‘한글주소’ 또는 ‘한인주’라고 합니다.
 
  |  
	 < 참고 : RFC > - RFC(request for comments)는 IETF(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)에서 발표하는 인터넷 관련 문서로 인터넷상에서 구현하는 기술에 필요한 절차와 기본 틀을 제공합니다. - RFC는 간행물 형태로 발행되는데 한 문서에 RFC 문서 번호가 부여되고 출판되면, 수정되거나 같은 번호가 부여되는 일은 없으며 전자우편이나 FTP로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.    관련 정보 및 등록 문서는 http://www.rfc-editor.org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- RFC를 구하기 위해서는 색인을 참조하면 되는데 색인은 어떤 RFC가 유일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RFC에 의해 갱신된 것인지를 나타내주며, RFC가 발표될 때마다 색인은 온라인   으로 갱신됩니다. - RFC-KR은 IETF(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)의 RFC(request for comments)와 같은 형태로 국내 인터넷 관련 문서를 체계적으로 관리하며 국내 인터넷 관련 정보들의 오류를 최소   화하고 하려고 운영하고 있습니다. - 문서가 접수되면 전문가 그룹에서 문서 내용을 검토하고 문서 번호를 부여하여 등록하게 됩니다. - RFC-KR의 등록 문서와 현재 작업 내용은 http://rfc-kr.nic.or.kr/index.html에서 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
  |  
	 |  
 
	 |